혹시 최근 간식 드시면서, "예전보다 양이 준 것 같은데" 라고 느껴본 적 있으십니까? <br /> <br />기분 탓인가 싶겠지만 아닙니다. <br /> <br />바로 슈링크플레이션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슈링크플레이션, '줄어든다'는 뜻의 슈링크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'인플레이션'의 합성어입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올리는 대신 양을 줄이거나 더 저렴한 원재료를 쓰는 전략을 말합니다. <br /> <br />통닭을 시켰는데 닭 다리가 하나만 들어있다면? 소비자들은 당연히 민감할 수 밖에 없겠죠. <br /> <br />하지만 같은 가격에 83g 용량이던 과자를 78g으로 줄인다면 어떨까요? <br /> <br />과자 용량까지 살피는 소비자들은 많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 저항이 낮은 편입니다. <br /> <br />용량 변화에 둔감하다는 것이죠. <br /> <br />소비자들이 알아채기 쉽지 않아서 슈링크플레이션은 '인플레이션 뒤에 숨은 인플레이션'이라고 불립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올해 9월 일부 요구르트 제품 용량을 143g에서 138g으로 5g 줄였고요. <br /> <br />농심과 오리온 등도 일부 과자 용량을 4g~5g 정도 줄였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가 모르는 사이 슈링크플레이션은 이미 일상 속을 파고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료로 제공하는 식당 반찬들이 줄어들고, 햄버거에 양상추가 적게 들거나, 양배추와 섞여 있는 것도 비싸진 원재료 대신 대체 원재료를 쓰는 슈링크플레이션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사실 슈링크플레이션은 최근 고물가 상황에 등장한 개념은 아니고 경제 위기 때마다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사례가 1997년 IMF 당시 질소 과자의 탄생입니다. <br /> <br />과자 양은 적은데 질소를 가득 채워 과대 포장한 사례죠. <br /> <br />기업들은 내용물이 부서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지만, 당시 '질소를 사면 과자는 덤으로 준다.'거나 '질소과자 여러 개면 둥둥 띄워 한강도 건널 수 있다'는 식의 풍자까지 등장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간이 흘러 다시 한 번 전 세계가 고물가에 시름하면서 기업들의 슈링크플레이션 전략은 해외에서도 확산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화장지 롤의 길이를 줄이고, 비누 덩이를 작게 생산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기업들이 이러한 슈링크플레이션을 적극적으로 알리지 않는 데다 소비자들도 자세히 보지 않는 이상 알아채기 쉽지 않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때문에 전문가들은 초인플레이션 시대 똑똑한 소비자가 되려면 제품의 용량을 꼼꼼히 확인하고 주시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0913232004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